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초간단 속없는 김장김치 레시피

by 트렌드가이드 2024. 11. 30.

시간이 부족하고 김장이 부담스러운 당신을 위한 레시피!  속 없이도 맛있는 김장김치를 담그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매년 김장철이면 힘들게 김치를 담그셨나요? 이제 복잡한 속 채우기 과정 없이, 간편하게 맛있는 김장김치를 만들어보세요.  배추 본연의 맛에 집중하여 깔끔하고 시원한, 속 없는 김장김치 레시피를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핵심 재료 살펴보기


일반 김장김치와 달리, 속 없는 김장김치는 배추와 양념만으로 담가요.  배추의 신선하고 아삭한 맛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포인트랍니다.  간단한 재료 구성과 정성껏 만든 양념이 핵심이에요.

 

기본 레시피는 절임배추 20kg(중간 크기 배추 3포기)를 기준으로 합니다.  여기에 갓 800g, 쪽파 600g(100g), 대파 5뿌리 정도가 필요해요.

 

양념 재료는 새우젓 500g(100g), 멸치액젓 300ml(다른 액젓으로 대체 가능), 다진 마늘 800g(200g), 생강 20g, 고춧가루 1300g(400g), 그리고 김치육수 5L가 필요합니다.  김치육수는 물, 다시마, 멸치를 넣고 30분 정도 끓여 만들면 돼요.

 

양념 비율은 배추 양에 따라 조절 가능하고요, 취향에 따라 찹쌀풀을 추가해서 농도를 맞출 수도 있어요.

 

다른 레시피에서는 무 1/4개, 사과 1개, 홍고추 8~10개, 멸치 진젓 1컵(액젓 가능), 새우젓 1/2컵, 찹쌀풀 1컵 등을 추가하기도 해요.  특히 사과, 무, 홍고추는 믹서에 갈아 양념의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하면 더욱 풍성한 맛을 낼 수 있답니다.  매실청이나 고추청을 추가해서 단맛을 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배추 절이기의 모든 것


속 없는 김장김치의 성공은 배추 절이기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배추를 반으로 자르고 밑동에 칼집을 넣어 소금물이 골고루 스며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해요.

 

천일염과 물을 섞어 만든 소금물에 배추를 5시간 정도 절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배추 크기, 신선도, 소금 농도에 따라 시간은 달라질 수 있어요.  배추 줄기가 자연스럽게 휘어질 정도로 절여지면 적당한 상태입니다.

 

절인 배추는 흐르는 물에 여러 번 깨끗이 헹궈 소금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물기를 충분히 빼줘야 해요.  물기가 제대로 빠지지 않으면 김치가 물러지고 맛이 덜해질 수 있거든요.  어떤 레시피에서는 8시간 절이고 중간에 한 번 뒤집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하고, 배추를 2/3 지점까지만 자르고 살며시 벌려서 갈라주면 부스러기가 적게 생긴다는 팁도 있대요.

 

배추 절이는 과정은 김치 맛의 기본이니까, 꼼꼼하게 확인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념 만들기 풍미의 비밀


속 없는 김장김치의 핵심은 바로 양념이에요.  깊은 풍미를 위해 다양한 재료와 정성이 필요하죠.

 

다진 마늘, 생강, 고춧가루, 새우젓을 기본으로 하고, 멸치액젓이나 멸치 진젓 등을 추가하면 감칠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믹서로 간 무, 사과, 홍고추를 넣으면 양념의 풍미와 색감이 더욱 풍부해져요.  찹쌀풀은 양념의 농도를 조절하고 김치 맛을 더욱 깊게 만들어줍니다.

 

육수는 멸치, 다시마, 무, 양파, 대파, 북어 대가리 등을 넣고 끓여 사용해요. 깔끔한 맛을 원하면 멸치나 다시마 육수를, 진한 양념을 원하면 진한 육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념 간은 배추의 염도와 사용하는 젓갈의 종류에 따라 조절해야 해요.  배추 한 장을 떼어 양념에 묻혀 간을 보고, 싱거우면 소금을, 짜면 육수를 추가하면 됩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매실청이나 고추청을 추가해서 단맛을 더하거나, 통깨, 검은깨를 넣어 고소함을 더할 수도 있어요.

 

김치 담그기 정성이 깃든 손길


양념이 준비되었으면 이제 김치를 담글 차례에요! 배추 줄기 부분부터 양념을 고르게 발라주고, 양념이 잘 스며들도록 배추를 차곡차곡 담습니다.  겉잎으로 김치를 덮어 숙성시키면 돼요.

 

배추를 눌러 빈틈 없이 채워주는 것이 중요하고, 통에 담을 때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꽉 채워주는 게 좋습니다.

 

저온에서 숙성시켜야 맛이 제대로 들기 때문에 5시간 정도 실온에 두었다가 김치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아요.  다른 레시피에서는 실온에서 10일 정도 숙성시킨 후 냉장 보관하는 방법도 있답니다.  굴을 추가하면 굴김치가 되지만, 굴은 오래 두면 군내가 날 수 있으니 바로 먹을 김치에만 넣는 것이 좋아요.

 

숙성과 보관 맛의 완성



숙성 과정은 김치 맛을 좌우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저온 숙성이 포인트에요. 보통 5시간 정도 실온에 둔 후 김치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지만, 숙성 시간은 김치 종류와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실온에서 10일 정도 숙성 후 냉장 보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숙성 과정에서 물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배추가 덜 절여졌거나 양념이 너무 묽기 때문일 수 있어요.  물이 생기면 김치를 건져 물기를 제거하고 다시 담가 숙성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한눈에 보기


주요 재료 절임배추, 갓, 쪽파, 대파, 새우젓, 멸치액젓, 다진 마늘, 생강, 고춧가루, 김치육수
추가 재료 무, 사과, 홍고추, 멸치 진젓, 찹쌀풀, 매실청, 고추청(선택)
배추 절이기 천일염 소금물에 5~8시간 절이기, 줄기가 휘어지면 완료
양념 만들기 다진 마늘, 생강, 고춧가루, 젓갈류, 믹서로 간 무, 사과, 홍고추, 찹쌀풀, 육수 사용
김치 담그기 배추 줄기부터 양념 바르기, 꽉 채워 담기, 겉잎으로 덮기, 저온 숙성
숙성 및 보관 5시간 이상 저온 숙성, 김치냉장고 보관

항목 내용

 

자주 물어보는 질문

Q1. 꼭 절임배추를 사용해야 하나요?

 

A1.  싱싱한 배추를 직접 절여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절이는 시간과 노력이 더 필요해요. 절임배추를 사용하면 시간을 단축하고 편리하게 김치를 담글 수 있습니다.

 

Q2. 멸치액젓 대신 다른 액젓을 사용해도 될까요?

 

A2. 네, 가능합니다. 까나리액젓, 까나리 젓갈, 멸치 진젓 등 다양한 액젓을 기호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요. 액젓 종류에 따라 김치 맛이 달라질 수 있으니, 처음에는 소량씩 사용하여 간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Q3. 찹쌀풀을 넣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A3. 찹쌀풀은 양념 농도를 조절하고 김치 맛을 더욱 깊게 해 줍니다. 찹쌀풀을 넣지 않으면 양념이 묽어져 김치가 물러질 수 있고 맛이 덜 풍부할 수 있어요. 하지만 찹쌀풀 없이도 김치를 담글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양념 농도를 육수로 조절해야 합니다.